
교사 계명(1) * 아이들을 길들이려고 하지 말라 * 어느 교회학교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물론 저학년일수록 더욱 많이 볼 수 있지만, 선생님이 피아노 건반을 한번 꽝 누루는 소리에 눈을 감고, 그리고 손을 모으고 두번째로 건반을 누르면 예배 시작 찬송을 부르는 모습입니다. 마치 노련한 조련사가 호각을 불 때 첫번째 호각 소리에는 일어서고 두번째 호각 소리에는 춤을 추고 세번째 호각 소리에는 일어서고 두번째 호각 소리에는 춤을 추고 세번째 호각 소리에는 앉는 훈련된 코끼리의 모습처럼 말입니다. 로보트 교회학교 우리는 이런 교육의 모습이 충실한 로보트를 만드는 교육이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해보아야 합니다. 이와 같이 선생님 말씀에 무조건 ‘아멘’하는 로보트를 만드는 교회학교 교육의 모습은 ..

첫 번째 시간 : 사람은 어떤 존재인가? …… ①사람이 떡으로만 살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입으로부터 나오는 모든 말씀으로 살 것이라 하였느니라 하시니(마 4:4) Ⅰ. 갈망하며, 먹어야 사는 인간 : 네페쉬 - living being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되니라(창 2:7) 구약에서 네페쉬의 주된 의미는 생명입니다. 독일의 신학자인 볼프는(H. W. Wolf) "구약의 성경 기자들은 인간이 네페쉬를 가진 것이 아니라 인간이 곧 네페쉬라고 이해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사람의 수고는 다 자기의 입을 위함이나 그 식욕은 채울 수 없느니라(전 6:7) 고되게 일하는 자는 식욕으로 말미암아 애쓰나니 이는 그의 입이 자기를 독촉함이니라(잠 16:26..

잘 되는 식당과 안 되는 식당, 그리고 교회 I. 잘 되는 식당 1. 종업원이 미소를 띄운다 2. 종업원이 일하는 것이 빠르다. 주문한 음식도 빨리 나온다. 3. 종업원이 자기 일처럼 책임 있게 말하고 행동한다. 월급 받고 일하는 사람 같지 않다. II. 안 되는 식당 1. 종업원이 미소를 잃고 있다. 짜증나는 표정에 건드리기만 하면 "안 와도 좋아요"소리가 당장 튀어나올 것 같다. 2. 종업원이 일하는 것이 느리다. 음식을 갖다 놓는 것도 전혀 리듬이 없고 손님이 아까 왔는데도 물 한잔 안 가져다 놓거나 손님이 앉기 무섭게 "뭐 드시겠어요?"라고 급하게 묻는다. 말시키는 것이 귀찮다는 표정이다. 3. 식당이 지저분하다 이런 식당은 으레 화장실도 지저분하고 주차장에서 뒷문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쓰레기통이 ..

성육신의 신학적 의미 장경철(서울여대 조직신학) 월간「교육교회」95.11월호(장신대 기독교교육연구원 제공) 기독교 신앙의 핵심에는 개념들이 있지 않고 구체적인 역사적 인물이 있다. 기독교 신앙은 예수 그리스도라는 한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된다. 성탄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성육신의 첫 출발점이다.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존재는 다른 관념이나 이데올로기의 창시자의 존재와 전혀 다른 성격을 띤다. 헤겔주의나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관념들은 그 관념의 주창자와 독립하여 존재할 수 있다. 비록 그 사상 체계가 그들에 의하여 소개되거나 종합되었을지라도 이제 그 사상 체계는 그 주창자로부터 독립하여 존재한다. 하지만 기독교 신앙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하여 단순히 소개된 것이..